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pv5 가격 바로확인하기 / 기아 pv5 패신저 가격, 제원, 보조금 확인하기

by 오리형 2025. 7. 20.
반응형

기아가 브랜드 최초의 PBV(Purpose‑Built Vehicle) 전용 모델로 ‘더 기아 PV5’ 계약을 시작하며 업계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전기차 기반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에서 다양한 고객 수요를 반영해 상부 구조를 유기적으로 운영하는 PBV 생태계가 본격 가동된 것입니다.
계획된 14종 파생 모델 외에도 컨버전 파트너사와 협업해 생산 범위를 확대하는 ‘14종+α’ 전략은 ‘다품종 소량생산 시대’를 여는 신호탄입니다.

 

 

 

 

 

 

 

 

 


1. PV5 =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 다품종 소량생산

✅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기반

  • E‑GMP.S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에 기반한 PBV 구조로, 배터리·구동부품을 바닥에 배치해 상부 유닛 설계에 자유도를 극대화
  • 전면부 공간 최소화·평평 바닥 구조로 실내 수직·수평 공간 크게 확보

✅ 다품종 소량생산 전환

  • 기존 자동차 산업의 소품종 대량생산 모델에서 벗어나 [패신저 4종 + 카고 3종 + 컨버전 7종]의 14종 세분 모델 전략
  • 1열 조수석 제거, 휠체어 탑승 구조 등 다양한 좌석 배치 가능
  • 이는 PV5가 모빌리티 서비스·유통·물류·교통약자용 등 고객 맞춤형 공급이 가능한 다기능 플랫폼임을 의미

2. 공간 혁명: 카니발보다 짧지만 더 넓다

🚗 카니발 대비 공간비교

  • 전장은 카니발보다 46cm 짧지만, 실내 공간감은 유사
  • 전고 190.5cm에 2열 바닥 높이 40cm 수준의 39.9cm 스텝고 구현
  • 슬라이딩 도어 개방폭 77.5cm로 물건 싣기·내리기 용이

✅ 실내 공간의 혁신

  • 전후방 흔들림 최소화, 머리부터 발끝까지 여유 있는 공간
  • 승객 중심의 공간 활용 극대화로 1열 공간 효율과 2열 승객 편의 모두 만족

3. 이보 플랜트 & 화성 컨버전 센터: 완성형 PBV 생산 인프라

📦 이보 플랜트(EVO Plant)

  • 패신저/카고 기본 7종 생산
  • PV5 전용 PBV 전용 공장으로, 생산 공정부터 AS 체계까지 일괄 구축
  • 모빌리티·유통·물류 등 일반 기업 임직원 초청 생산라인 공개로 수요 발굴

🏭 화성 컨버전 센터

  • 4인승 프라임, 라이트캠퍼, 냉동탑차 등 컨버전 7종 모델 생산
  • 특장업체와 공동 개발 및 R&D 기능 결합
  • 차량 도너 모델 공급 기반으로 미완성차 → 완성차 공급 체계 도입

4. 혁신 모델: 패신저·카고·컨버전의 세분화

🚙 패신저 4종

  • 2‑3‑0(5인승) 기본형
  • 조수석 제거 + 2열·3열 2좌석 구성의 1‑2‑2 모델,
  • 휠체어 탑재형 2‑0‑3 모델,
  • 다양한 추가 좌석 배치 등

📦 카고 3종

  • 운전석 뒤를 완전히 비운 구조로 화물 탑재 및 물류 최적화

🔧 컨버전 7종

  • 프라임, 라이트캠퍼, 냉동탑차, 내장탑차 등 목적별 차별화된 인테리어
  • 특장업체 협업, 사후관리까지 고려한 완성차+AS 제공 체계

5. ‘도너 모델’ 전략: 특장 파트너 생태계 형성

  • 기아가 제공하는 미완성 도너 모델을 특장업체가 인테리어·목적용 구조로 완성
  • 완성차 수준의 품질, 파츠, AS 통합 기능 보장
  • 과거 특장차량은 시트 탈착·내부 재조립 방식 → 인건비·소재 낭비
  • PV5 도너 모델은 친환경 생산 방식 + 파트너 시장 상생 구조
  • 결과적으로 14종+α 확장에 필요한 유연한 플랫폼 확보

6. 소비자·기업 맞춤형 생산: 일반 기업 위한 라인 투어

  • 오토랜드 화성 내 이보 플랜트에서 모빌리티·물류·IT·여행사 등 다수 기업 초청
  • 각 기업의 업무 니즈에 맞춘 PBV 설계 상담 및 수요조사 진행
  • 이처럼 고객사에 특화된 차량 생산 방식은 기존 완성차 직영 방식과 대비되는 ‘플랫폼 전략’

7. 목표와 시장 전망: 2030년 25만대 판매 목표

  • 2030년 목표: 전 세계 PBV 판매 25만대 → 유럽 13.3만대, 한국 7.3만대
  • 중소형 밴 중심의 유럽 시장에서 PBV 수요 확보 → 글로벌 전략적 움직임
  • 이는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전략 전환의 시발점
  • 글로벌 시장 전체 9000만대 대비 작지만, 전기차·PBV 성장 잠재력 충분

 

 

 

 

PV5 가격 세분화 보기

 

 

 


8. 결론: PBV 시대, 기아 PV5와 다품종 소량생산의 파도

핵심 주제 요약
플랫폼 혁신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기반 다품종 생산 체계 전환
생산 인프라 이보 플랜트 & 화성 컨버전 센터로 PBV 경제성 확보
파트너 생태계 도너 모델 공급 및 특장업체 협업 통한 상생 구조
시장 전략 기업 맞춤 차량 + 2030년 글로벌 판매 25만대 목표

 

PV5는 EV 시대의 PBV 상용화와 플랫폼전략의 실질적 사례입니다.
전기차 기반 모빌리티 혁신과 더불어, 다품종 소량생산의 새로운 공정 철학이 이 플랫폼에서 실현됩니다.
기아 PV5의 실제 인도 이후 고객 반응, 시장 수요 대응력, 수익성 모델이 어떻게 성과로 드러날지 주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