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기아 PV5 제원 자세히 보기 / PV5, 카니발, 스포티지 의 공통점은? / PV5 택배 상하차 사례보

by 오리형 2025. 7. 24.
반응형

"한겨울에 택배 상·하차를 직접 해보기도 하고, 에어컨 수리나 세탁물 배송, 출장 청소업 종사자들의 사업장을 방문해 인터뷰를 하는 등 발로 뛰며 고객 니즈를 직접 확인했다.” (방기경 기아 국내상품2팀 매니저)

기아는 지난 22일 경기 광명 AK플라자에서 첫 목적기반차량(PBV) ‘더 PV5’ 테크데이를 열고, 차별화된 상품성과 실사용자 중심의 기술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레고처럼 조립 가능한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기아 PV5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이다. 이는 마치 레고 블록을 조립하듯 차체, 도어, 테일게이트 등 무빙 부품을 모듈화해 다양한 형태의 차량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PBV 특화 기술이다.

PV5는 6개의 카고 모델과 1개의 패신저(승용) 모델로 구성돼 있으며, 이 시스템을 통해 최대 16개 차체까지 조합 가능하다. 즉, 패밀리카는 물론 캠핑카, 상업용 차량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설계 유연성과 정비 편의성 강화

설계 유연성 외에도 구조적 안정성, 정비 편의성까지 챙겼다. 소음·진동(NVH) 개선, 내구성 강화는 물론 일부 부품만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통해 유지보수도 한층 간편해졌다. 이는 1000건 이상의 사용자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검증된 결과다.


전장 4695mm, 하지만 실내는 카니발급

겉보기에는 스포티지급 전장(4695mm)의 준중형 전기차처럼 보이지만, 실내 공간은 카니발 수준의 헤드룸과 레그룸을 확보했다. 기아는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를 바탕으로 전방 충돌 안전성을 확보한 채 운전석을 전방에 배치하고, 바닥을 완전히 평평하게 설계해 탑승과 적재 모두에서 PBV의 핵심 가치를 실현했다.


휠체어도 측면 탑승, 교통약자까지 배려한 디자인

기아 PV5는 교통약자를 위한 배려도 놓치지 않았다. 기존의 장애인 차량이 후면 탑승 구조였던 것과 달리, PV5는 측면 진입이 가능한 설계를 적용했다. 이는 휠체어 이용자가 일반 승객과 같은 방향으로 탑승해 시야와 동선 모두에서 불편함이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유지보수와 정비 편의성까지 챙긴 PBV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과 모듈화 설계 덕분에 유지보수도 간편해졌다. 일부 파손된 부위만 손쉽게 교체 가능하며, 소음·진동(NVH), 내구성까지 개선됐다. 기아는 1000개 이상의 실사용자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테스트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제품에 그대로 반영했다.


기아 PV5, 단순한 차량이 아니라 ‘이동 플랫폼’

기아는 PV5의 가치를 단순한 차량으로 보지 않는다. 화성 EVO 플랜트 인근에 PBV 전용 컨버전 센터를 구축하고, 별도의 개조 없이 각종 장비나 모듈을 빠르게 장착할 수 있는 전용 마운팅 구조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출시 후에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모델로 확장될 예정이다:

  • 오픈베드 카고
  • 라이트 캠퍼 (레저용)
  • 프라임 (프리미엄 승객용)
  • 냉동탑차, 내장탑차 등 상업용 특수차량

기아 PV5 핵심 요약

항목 상세 정보
모델명 기아 PV5
전장 4695mm (스포티지급)
실내공간 카니발 수준 확보
플랫폼 E-GMP.S +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핵심 기술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활용 분야 패밀리카, 캠핑카, 화물차, 교통약자 이동수단
생산 방식 PBV 전용 공장 + 컨버전 센터

 

 

 

 

 

PV5 견적내기

 

 

 

 


마무리: PBV 시장의 기준이 될 기아 PV5

기아 PV5는 전기차를 넘어서는 진화형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스포티지의 크기에서 카니발의 공간을 뽑아내고, 사용자 맞춤형 구성, 접근성, 유지보수 효율성까지 갖춘 PV5는 향후 PBV 시장의 표준 모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개별 소비자의 니즈, 업종별 업무용 차량 수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신 가능한 전기차를 찾고 있다면, 기아 PV5는 그 해답이 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