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네시스 GV60 마그마 시승 후기: 고성능 전기 SUV의 새로운 기준

by 오리형 2025. 11. 24.
반응형

제네시스 ‘GV60 마그마’ 시승 후기: 런치컨트롤로 제로백 3.4초… 고성능 전기 SUV의 새로운 기준

프랑스 남부 르카스텔레 폴 리카르 서킷. 제네시스가 고성능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하며 내놓은 GV60 마그마는 기존 라인업과 완전히 다른 성격을 가진 모델이다. 동승 시승이 시작되자마자 드라이버는 출발선에서 마그마 전용 기능인 런치컨트롤을 활성화했다. 토크를 미리 최대로 끌어올려 출발 반응을 극대화하는 기능으로, 초록 신호가 켜지자 GV60 마그마는 폭발적인 가속으로 단숨에 제로백 3.4초를 기록하며 시속 100km를 찍었다.

 

 

 

 

 

 

 

 

 

 

 


■ 전폭은 넓히고 차체는 낮추며 ‘퍼포먼스 DNA’ 확실히 구축

GV60 마그마는 고성능 전기 SUV라는 콘셉트에 맞춰 기존 GV60 대비 더 넓어진 전폭과 낮아진 차체를 적용했다. 무게는 2.2톤이 넘지만 이는 오히려 고속 안정성과 코너링 밸런스를 잡기 위한 설계 결과다.

서킷의 직선 구간에서는 200km/h까지 꾸준히 밀어붙이는 가속력, 회전 구간에서는 운전자의 조작에 즉각 반응하는 민첩함이 인상적이었다. 단순히 빠르기만 한 전기차가 아니라, 고성능과 안정성, 승차감이 균형 있게 공존하도록 설계됐다.

제네시스 프로젝트2팀 박광수 책임연구원은 “고성능과 편안함은 양립할 수 없다”는 기존 시장의 통념에 과감히 도전했다고 강조했다. GV60 마그마는 그랜드 투어러 성향 위에 퍼포먼스를 강화한 모델로, 장거리 주행과 트랙 주행 모두에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다.


■ 벤틀리·롤스로이스를 참고한 ‘럭셔리 퍼포먼스카’ 전략

제네시스는 마그마 프로그램을 통해 향후 10년 동안 고성능 럭셔리 시장을 본격 공략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제네시스사업본부장 송민규 부사장은 경쟁 벤치마킹 대상으로 벤틀리, 롤스로이스를 언급하며, 마그마의 정체성을 “단순히 트랙에서 빠른 차가 아니라, ‘이 차의 잠재력이 어디까지일까’를 느끼게 하는 럭셔리 퍼포먼스카”라고 설명했다.

즉, 마그마는 제네시스가 기존 럭셔리 브랜드들이 독점해 왔던 고급감 + 퍼포먼스의 ‘이원화된 기준’을 무너뜨리는 프로젝트다. GV60 마그마는 그 시작점인 셈이다.


■ 제네시스 판매 전략의 핵심 라인업으로 성장

현대차그룹은 제네시스 판매량을 현재 연 22만5,000대에서 2030년까지 35만 대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중 마그마 라인업이 전체의 10%를 담당할 것이라는 전략도 밝혔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마그마는 단순 이미지 마케팅이 아니라 실제 판매에 기여할 핵심 라인업”이라고 강조했다. 고급 퍼포먼스 시장의 성장 속도를 고려할 때 수익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는 평가다.


■ 모터스포츠에서도 존재감 확대… 르망 데뷔까지 성공

제네시스는 마그마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모터스포츠 시장에서도 빠르게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2025년 시즌 유러피언 르망 시리즈(ELMS)에는 LMP2 클래스 차량을 투입해 첫 출전부터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이어진 레이스에서도 연이어 1위를 기록하며 경쟁력을 증명했다.

올해는 세계 3대 모터스포츠 대회인 르망 24시에 처음 도전해 글로벌 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르카스텔레 지역에는 GMR 워크숍을 구축해 엔지니어링·운영·차량 개발 기능을 통합한 테스트 및 운영 거점도 마련했다. 이 시설은 50여 명의 전문 인력이 상주하며 마그마 및 모터스포츠 관련 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 결론: GV60 마그마는 제네시스의 ‘럭셔리 고성능 전략’의 시작

GV60 마그마는 단순한 고성능 전기 SUV가 아니라, 제네시스가 향후 10년 동안 펼칠 럭셔리 퍼포먼스 전략의 핵심 모델이다.
제로백 3.4초의 폭발적 가속, 트랙에서의 안정된 퍼포먼스, 그리고 기존 GV60과 확실히 차별화된 디자인까지 갖추며 고성능 전기차 시장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향후 마그마 라인업은 제네시스 브랜드의 상징성과 판매 확대 전략을 동시에 이끄는 중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